‘CES 2025’에 참석한 SK텔레콤 유영상 CEO가 기술적 성숙도를 이룬 AI에 언급했다. (사진=SK텔레콤)

글로벌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 참석한 SK텔레콤 유영상 CEO가 기술적 성숙도를 이룬 AI에 대해 깊은 인상을 받았다.

유 CEO는 7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2025 전시관을 둘러본 후 “AI 기술이 한 단계 성숙한 것 같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행사 공식 개막 직전 SK그룹 공동 전시관을 비롯해 삼성전자와 파나소닉 전시관을 방문했다. 이에 앞서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기조연설을 경청하기도 했다.

유 CEO는 “작년에는 AI가 처음 나왔지만 이제는 생활과 산업 속에서 버티컬 AI의 활용사례까 많이 생겨난 모습”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인상 깊었던 타사 전시관으로는 삼성전자를 꼽았으며 홈 IoT 서비스인 스마트씽스에 AI를 입히는 행보에 대해 전략적으로 굉장히 잘 가고 있다고 평했다.

경쟁사 대비 SKT의 차별점에 대해서는 “좀 더 빨리 시작한 만큼 해외 파트너사도 많고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해 초기부터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었다”며 “SK하이닉스와 SKC 등 그룹사와 같이 AI 데이터 솔루션을 가지고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짚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SKT는 글로벌향 AI 에이전트(PAA) ‘에스터’의 구체적인 서비스 실체를 공개하며 관심을 모았다. 회사 측은 오는 3월 북미 베타 서비스를 거쳐 올 하반기 ‘에스터’를 미국에 정식 출시하고 2026년 다른 국가들로 서비스 권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관련해 유 CEO는 “이미 어시스턴트에서 에이전트라는 콘셉트로 가고 있으며 그 다음은 아바타라는 콘셉트까지 갈 것 같다”며 “에이전트 수준에서 우리가 글로벌 무대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을 테스트하는 차원”이라고 언급했다.